전체 글 65

리액트의 장점과 단점 

리액트의 장점 (1) 빠른 업데이트 & 렌더링 속도 업데이트란? 우리가 웹사이트를 탐색할 때 화면에 나타나는 내용이 바뀌는 것 리엑트에서는 빠른 업데이트를 위해 내부적으로 Virtual DOM을 사용함 Virtual Dom? 먼저, Dom이란, Document Object Model의 약자로 웹페이지를 정의하는 하나의 객체임 -> 하나의 웹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모두 담고 있는 큰 그릇 virtual DOM은 웹페이지와 실제 DOM 사이에서 중간 매개체 역할을 하는 것 리액트는 DOM을 직접 수정하지 않고 업데이트해야 할 최소한의 부분만을 찾아서 업데이트함 (2) Component - Based 컴포넌트? 구성 요소라는 뜻 / 리액트에서는 모든 페이지가 컴포넌트로 구성되 있음 하나의 컴포넌트는 또 다른 여..

리액트는 무엇인가?

리액트 React : A JavaScript library for building user interfaces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만들기 위한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 : 대표적인 자바스크립트 UI 라이브러리 라이브러리 library : 자주 사용되는 기능들을 정리해 모아 놓은 것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자주 사용되는 기능들을 잘 모아서 정리해 놓은 모음집 사용자 인터페이스 User Interface, UI : 사용자와 컴퓨터 프로그램이 서로 상호작용을 하기 위해 중간에서 서로 간에 입력과 출력을 제어해주는 것 ex) 웹사이트에서 버튼 or 텍스트 입력창 UI 라이브러리 :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만들기 위한 기능 모음집 -> 화면을 만들기 위한 기능들을 모아 놓은 것 대표적인 JavaScript UI 라이..

JavaScript의 함수 및 연산자

함수? : 입력을 받아서 정해진 출력을 하는 것 파라미터 parameters / 인자 arguments : 함수의 입력 (1) function statement 사용 function sum(a, b) { return a + b; } console.log(sum(10,20)); (2) arrow function expression 사용 const multiply = (a, b) => { return a * b;} console.log(multiply(10,20)); 연산자 Operator 대입 연산자 Assignment operator 변수의 값을 대입하기 위해 사용하는 연산자 / 기호 '=' 항상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으로 흐름이 흘러감 오른쪽의 값을 왼쪽의 값에 대입함 사칙 연산자 / 산술 연산자 덧셈 ..

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

HTML (Hypertext Markup Language) : 마크업 언어의 한 종류임 -> 웹사이트의 뼈대를 구성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마크업 언어임 마크업 언어란 ? 마크업 : 문서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문서에 추가되는 정보를 의미 Tag(태그) 웹사이트의 구조를 만들고 웹스이트의 내용들을 채워 넣음 등 괄호 안에 태그 이름을 넣어서 사용 / : 닫는 역할 열었으면 반드시 닫아주어야 함!! 웹사이트의 뼈대를 구성하는 태그들 & : html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태그임 : 머리와 몸통 : 웹사이트의 속성이 들어감 / 제목, 설명 등 여러가지 속성을 담고 있음 -> 이러한 속성들은 메타데이타 : 실제로 웹사이트에서 보이는 컨텐츠가 들어감 / 우리가 실제로 웹브라우저에서 보게 되는 내용이 들어감 각 페이..

JavaScript 소개 및 자료형

JavaScript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거나 정보를 입력하는 등의 동적인 작업을 처리하기 위해서 사용함 HTML과는 전혀 다른 성격의 프로그래밍 언어임 -> HTML은 웹사이트의 뼈대를 구성 but, JavaScript는 웹사이트가 살아 움직이도록 생명을 불어넣는 역할을 함 스크립트 언어의 특징 :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런타임에 코드가 해석된다는 점 JavaScript의 문법 자료형 Data Type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데이터를 다루기 위해 미리 정해놓은 데이터의 유형 자바스크립트에서는 변수를 선언할 때가 아닌 변수의 데이터가 대입되는 시점에 해당 변수의 자료형이 결정됨 --> 동적으로 자료형이 결정됨 -> 다이나믹 타이핑 Dynamic Typing var(variable)을 사용함 혹은 let을 사용하기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