함수?
: 입력을 받아서 정해진 출력을 하는 것
파라미터 parameters / 인자 arguments
: 함수의 입력
(1) function statement 사용
function sum(a, b) {
return a + b; }
console.log(sum(10,20));
(2) arrow function expression 사용
const multiply = (a, b) => {
return a * b;}
console.log(multiply(10,20));
연산자 Operator
대입 연산자 Assignment operator
- 변수의 값을 대입하기 위해 사용하는 연산자 / 기호 '='
- 항상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으로 흐름이 흘러감
- 오른쪽의 값을 왼쪽의 값에 대입함
사칙 연산자 / 산술 연산자
- 덧셈 + 뺄셈 - 곱셈 나눗셈 / 나머지 % 제곱 **
- 산술 연산자와 대입 연산자는 함께 사용됨
증가 연산자 (++) 감소 연산자(--)
- postfix : a++ --> 증감 전의 값을 반환 후 변수의 값이 증감되 ㅁ
- prefix : ++a --> 먼저 변수의 값을 증감시키고 이후에 증감된 변수의 값을 반환함
관계 연산자 / 비교 연산자
- 변수들의 값을 비교하기 위해서 사용
- <, >, <=, >=
동등 연산자 equality operators
- a == b a가 b와 같다 / a!= b a가 b와 같지 않다
일치 연산자 Strict equality operators
- a === b / a !== b
- 변수의 값 뿐만 아니라 자료형까지 같은지를 검사하게 됨
이진 논리 연산자 Binary logical operators
- true와 false 값만을 가지는 분리형 값을 비교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
- a && b : a와 b가 모두 true일 경우에만 true
- a || b : a 또는 b가 true일 경우에는 true
조건부 연산자 Conditional operator / 삼항 연산자 Ternary operator
- 조건에 따라서 결과가 두개로 나눠지게 된다
- 조건식? true일 경우 : false 일 경우
'React > 처음 만난 리액트(react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(실습) 직접 리액트 연동하기 (0) | 2023.09.29 |
---|---|
리액트의 장점과 단점 (0) | 2023.09.25 |
리액트는 무엇인가? (0) | 2023.09.25 |
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(0) | 2023.09.25 |
JavaScript 소개 및 자료형 (0) | 2023.09.2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