HTML (Hypertext Markup Language)
: 마크업 언어의 한 종류임 -> 웹사이트의 뼈대를 구성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마크업 언어임
마크업 언어란 ? 마크업 : 문서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문서에 추가되는 정보를 의미
Tag(태그)
- 웹사이트의 구조를 만들고 웹스이트의 내용들을 채워 넣음
- </html> 등 괄호 안에 태그 이름을 넣어서 사용
- / : 닫는 역할
- 열었으면 반드시 닫아주어야 함!!
웹사이트의 뼈대를 구성하는 태그들
- <html> & </html> : html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태그임
- <head> <body> : 머리와 몸통
- <head> : 웹사이트의 속성이 들어감 / 제목, 설명 등 여러가지 속성을 담고 있음 -> 이러한 속성들은 메타데이타
- <body> : 실제로 웹사이트에서 보이는 컨텐츠가 들어감 / 우리가 실제로 웹브라우저에서 보게 되는 내용이 들어감
각 페이지 별로 html 파일이 따로 존재함
SPA (Single Page Application) : 하나의 페이지만 존재하는 웹사이트 or 웹 어플리케이션
전통적인 방식의 웹 어플리케이션 (멀티 페이지 애플리케이션)
- 여러 개의 페이지가 존재하는 형태
- 사용자가 페이지를 요청할 때마다 새로운 페이지가 로딩되어 화면에 나타나는 것임
- 각 페이지는 각자의 html 파일을 가지고 있음
싱글 페이지 어플리케이션
- html 파일이 하나임
- 처음에, 이 html 파일의 body 태그의 내부가 텅 비어 있다가 해당 페이지에 접속할 때 그 페이지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동적으로 body 페이지를 채워 넣음
CSS (Cascading Style Sheets)
: 웹사이트의 스타일을 담당함 / 웹사이트의 레이아웃, 글꼴, 색상 등의 디자인을 입히는 역할을 담당하는 언어
--> HTML로 웹사이트의 구조를 만든 후 CSS를 사용해 디자인을 입힘
'React > 처음 만난 리액트(react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(실습) 직접 리액트 연동하기 (0) | 2023.09.29 |
---|---|
리액트의 장점과 단점 (0) | 2023.09.25 |
리액트는 무엇인가? (0) | 2023.09.25 |
JavaScript의 함수 및 연산자 (0) | 2023.09.25 |
JavaScript 소개 및 자료형 (0) | 2023.09.25 |